전체 글145 교육이론과 교육사상 현대 교육 사상의 이해 교육이론에서의 현대 교육사상의 계보(系譜)를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① 아동 개성의 자유스럽고 활발한 신장 발전(伸張發展)을 교육목적으로 삼고 있는 스웨덴의 엘렌 케이(Ellen Key, 1849-1926), 독일의 루트비히 구를리트(L. Gurlitt, 1855-1931) 및 이탈리아의 마리아 몬테소리(M. Montessori, 1870-1952)를 중심으로 하는 개인적 자유주의 교육사상 ② 심리학적 실험을 아동에게 적용하여 확실한 교육방법을 모색하려는 독일의 에른스트 모이만(E. Meumann, 1862-1915)·라이(W. A. Ray, 1862-1926) 등을 중심으로 하는 실험주의 교육사상 ③ 교육의 사회적 영향을 실증적으로 체계화하려는 독일의 베르게만.. 2024. 3. 30. 교육 이론(Education theory)이란 교육 이론(Education theory) 교육이란 교육 행위와 현상에 관한 제반 영역을 학문적으로 연구하여 이론체계로 종합한 것이다. 교육 이론은 학습과 교육의 목적과 적용 및 해석에 대한 이론으로 교육 과정과 실천을 설계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아이디어, 원리 및 개념의 집합을 의미한다. 교육 이론은 행동과학 또는 현상학으로서 사회학, 심리학, 철학 및 인류학 등의 다양한 학문을 포괄하고 사람들이 어떻게 배우는지 그 과정을 어떻게 이해하고 실천하는데 잘 돕는지를 설명한다. 교육 이론의 역사 교육 이론의 역사는 그리스 교육가들과 학자들로 그리스 교육가들과 학자들로부터 시작되었다. 18세기 이후 교수와 성인 교육학(andragogy)를 포함한다. ‘ 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의 이론과 실제는 교육 환경 속에.. 2024. 3. 27. 평생교육학의 전략 평생교육학의 전략 평생학습은 지속적인 학습을 통해 전문 기술을 습득하고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여 진로 개발을 지원하는 과정임과 동시에 삶의 경험을 확장하고 새로운 세계를 받아들일 수 있고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성찰하도록 하는 교육을 목표로 합니다. 목표 설정과 계획 수립 평생학습을 위한 전략은 다양한 방법과 도구를 활용하여 개인의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 것과 동시에 공동체의 번영과 발전을 중점으로 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전략들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첫째로, 목표설정과 계획 수립이 중요합니다. 학습자가 이루어 내고자 하는 교육에 있어 또는 진로를 개발하기 위한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맞는 계획을 세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목표는 구체적이고 측정할 수 있어야 하며, 일정 기간 내에 달성할.. 2024. 3. 23. 평생교육학에서의 교수자의 역할(2) 평생교육학에서의 교수자의 역할에 대해 더 알아보고자 한다. 역할모델로서의 교수자 학습과정에서 학습자들이 받는 영향력의 정도와 성격을 선택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제기되는 역할로 역할 모델은 교수자와 학습자에 의한 상호주도적인 방법에 적합하고 모델링은 지식, 가치, 태도, 기술과 같은 모든 종류 학습에 이용 모델링은 학습자와 교수자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일어날 수 있고, 학습자가 갖고 있는 가치체계를 통해 학습을 촉진시킨다. 그러나 모델이 너무 완벽하면 모델 역할의 효과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고 학습자가 외향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을 때 모델링은 더욱 활발하게 일어난다. 멘토로서의 교수자 멘토로서의 교수자는 학습자의 성장을 돕는 조력자이며 학습자의 발전을 격려하는 역할이다. 촉진자의 역할과 중복되는 부분.. 2024. 3. 23.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 37 다음